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시황 ['25년 2월] 물류 Market Intelligence 리포트

등록일2025-02-20

물류시황

해상 해상

SCFI 종합지수

SCFI 종합지수
2월 1주 SCFI 종합지수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화주들의 관망세로 4주 연속 하락하며, 9개월 만에 2,000선이 붕괴되었습니다.
노선별로는 유럽/남미의 1월 운임지수가 유럽 경기 둔화 및 해운동맹 재편으로 인한 경쟁 심화로 전월 대비 18% 하락했습니다.
(출처 : Shanghai Shipping Exchange )

삼성SDS SCFI 전망

삼성SDS SCFI 전망
1월 SCFI 종합지수는 중국 춘절 연휴 수요 감소에 따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미 관세 리스크에 따른 물동량 및 운임의 변동성 확대가 우려됩니다.
2025년 1분기 평균 운임 전망은 북미서안 $3,523 / 북미동안 $4,726 / 북유럽 $2,396 / 남미 $4,767 입니다.
(출처 : SamsungSDS Brightics)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미국 동부항만 파업은 철회되었지만 북미 주요 컨테이너 항만은 이미 수입량이 급증했으며 당분간 높은 수준이 유지될 전망입니다.
2024년 공급 증가율이 10.1%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5년부터 증가세 둔화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공급 우위 상황이나, 2026년에는 수요-공급 차이가 0.7%p로 좁혀지며 수급의 균형이 예상됩니다.
(출처 : Clarksons Research)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24년 홍콩 컨테이너 물동 처리량, 28년 만에 최저 기록
- 홍콩의 컨테이너 물동 처리량은 2024년 1,369만 TEU로 1996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중국 본토 항구와의 경쟁 심화가 감소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 국회와 업계에서는 국제 항만 허브로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홍콩의 해운 분야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미주
[미주] 미 동부항만 노조 협상 타결
- 국제 항만 노동자 협회(ILA)와 미국 해사 연합(USMX)은 자동화를 포함한 모든 항목에 대한 새로운 6년 마스터 계약에 대해 '임시'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 양측은 작년 10월 파업 이후 62%의 임금 인상에 합의 했지만, 항만 자동화에 대한 의견 차이가 1월 초까지도 좁혀지지 않으면서 11월 중순부터 6주 연속 해상운임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재협상 기한(1월 15일)을 6일 앞두고 양측 간 합의가 타결되며 파업 위험 해소로 운임은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유럽
[유럽] 프랑스 항만노조 파업으로 물류 차질 우려
- 프랑스 최대 컨테이너 항만인 르아브르에서 항만 노동조합이 국가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파업을 시작했습니다. 4시간씩의 간헐적 파업에 이어, 30~31일은 48시간 파업에 돌입했고, 2월 28일까지 파업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 현재까지 파업의 영향은 불분명하나, 파업이 반복되면 선박이 북유럽의 다른 항만으로 우회할 수 있어, 프랑스 항만으로의 물동 감소 우려됩니다.

항공 항공

TAC Index

TAC Index
2025년 1월 발틱 항공 운임 종합 지수는 춘절 연휴의 영향으로 5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2025년 2월 첫째 주 소폭 상승했습니다. 대부분의 유럽, 미주발 운임의 높은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아시아발 운임은 보합세로 글로벌 화물 운임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아시아발 평균 운임은 연말 성수기 이후 춘절 영향으로 하락, 특히 중국-유럽 운임 전월 평균 대비18% 급락했습니다.
(출처 : TAC Index)

삼성SDS TAC 전망

삼성SDS TAC 전망
HKG-US : 2025년 1분기 $5.47 ~ $5.49, 2분기 $5.50 ~ $5.95, 3분기 $5.69~5.85, 4분기 $6.04~7.43
HKG-EU : 2025년 1분기 $4.26 ~ $4.65, 2분기 $4.23 ~ $4.38, 3분기 $4.34~4.43, 4분기 $4.39~4.97
(출처 : SamsungSDS Brightics)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 수요는 '24년 연간 기준으로 12.2% 증가, 공급은 9.6% 증가하며 평균 적재율은 45.9% 기록했습니다.
항공 화물 업계는 복잡한 도전 과제 속에서 성장 모멘텀을 회복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 IATA)

지역별 동향

아시아
[아시아] 싱가폴 창이공항, '24년 199만 톤의 화물을 처리
- 2024년 창이공항은 199만 톤의 항공화물 처리량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14.6%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성장은 전자 수출의 반등과 선적의 재수출에 기인했습니다.
- 공항에서 두 개의 새로운 화물 전용 항공사가 운항을 시작했으며, 싱가포르와 하이커우, 싱가포르와 나고야를 연결하는 두 개의 새로운 화물기 노선을 취항했습니다.
유럽
[유럽] 유럽 연결성을 혁신하는 폴란드 중앙 공항 건설 예정
- 폴란드가 유럽 항공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중앙교통허브(CPK)와 폴란드 공항공사(PPL)이 협력해 중앙 공항을 건설 예정입니다.
- 2032년까지 두 개 활주로와 연 3,400만 명 수용 터미널을 포함한 종합 교통 허브로 개발 예정입니다.
미주
[미주] 트럼프 관세정책이 미치는 영향
- 2025년 2월 3일 미국이 중국(10%), 캐나다(25%), 멕시코(25%)에 추가 관세를 부가하며 항공 화물 업계에 긴장을 주었습니다.
- 캐나다와 멕시코는 협상을 통해 한 달간 관세 적용 유예하였지만, 이번 조치는 예고 없이 시행되어 기업들이 공급망을 이전하는데도 시간이 걸려 혼란이 예상됩니다.

첼로 스퀘어의 회원이 되시면,
더욱 상세한 물류 리포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