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시황 ['25년 상반기]
물류 Market Intelligence
반기 리포트

등록일2025-07-08

마켓이슈

경제 마켓 이슈

2025년 경제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IEEPA기반 관세에 대한 법적 불확실성에 대응해,기존 무역확장법을 활용한 관세 강화 정책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러한 트럼프 2기의 불확실한 관세 정책과 무역 갈등 속 미국의 관세 세입액은 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또한, OECD 글로벌 경기 선행지수 기준, 미국은 5개월 연속 경기 둔화되고 있는 반면 주요국들은 경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5월 미-중 관세 완화에도 불구, 미국의 실효 관세율은 1930년대 이후 최고치인 15.8%를 기록하며 화주들의 부담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결국 관세 인상은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져 미국 소비자의 구매력을 하락시켜 수요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 높습니다.

해상 마켓 이슈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불공정 무역에서 해운/조선업까지 확대, 10월부터 입항 수수료 부과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입항 수수료 절감을 위한 선사들의 운항 전략 변경에도 불구하고 해당 조치로 인한 해상 운임 상승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항공 마켓 이슈

중국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에 일조한 미 소액면세 제도가 '25년 5월부로 종료되며,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에 급제동이 걸렸습니다. 소액면세 제도 종료는 글로벌 항공 수요의 30%를 차지하는 전자상거래에 영향을 미치며 수요/공급 모두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물류시황

해상 해상

SCFI 종합지수

SCFI 종합지수
최근 해상 시황은 전통적 순환 주기 교란, 예측 신뢰성 저하, 지정학적 위험 노출 심화 등이 다양하게 작용하며 변동성 증폭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트럼프 2기 출범으로 인한 불안정한 무역 정책과 지정학적 리스크의 장기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
(출처 : Shanghai Shipping Exchange )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2025년 1분기는 미국 동부항만 파업, 고율 관세 부과 등의 리스크 대비를 위한 사전 선적 영향으로 글로벌 컨테이너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상반기 글로벌 선박 운항 정시성은 90% 이상 정시 운항을 목표로 하는 Gemini의 단계적 도입과 주요 사전 선적이 마무리 되며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항공 항공

TAC Index

TAC Index
2025년 상반기 북미착 운임은 미국의 소액면세 제도 종료와 800달러 이하 소포 대상 관세 적용의 영향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상반기 유럽착 운임은 북미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등락 속에 완만한 조정 흐름을 보이며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 TAC Index)

수요&공급 동향

수요&공급 동향
2025년 상반기 항공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반면, 공급은 0.2% 소폭 상승하며 관세 제약에도 불구하고 수요 우위 시장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객 수요 증가와 90일 관세 유예로 여객기와 화물기 공급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미 노선 공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 IATA & Seabury)

물류 리포트가 궁금하시다면?

샘플 다운로드

첼로스퀘어의 회원이 되시면,
더욱 상세한 물류 리포트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