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물류 시황 한눈에 보는 미국 관세정책 변화

등록일2025-07-28

카테고리 일자 관세 정책 상세

보편/상호

2025.07.27

유럽연합(EU), 무역협상 타결

  •  EU산 제품 상호관세 30%(7월 12일 기준) → 15%로 합의
  •  양측 일부 전략적 품목(항공기/반도체 장비 등)에 대한 상호 무관세 합의
  •  EU산 자동차 대상 관세율 15% 적용

보편/상호

2025.07.22

필리핀, 무역협상 타결

  •  필리핀 상호관세 20%(7월 9일 기준) → 19%로 인하
  •  미국산 제품 무관세 적용


일본, 무역협상 타결

  •  일본 상호관세 25%(7월 7일 기준) → 15%로 인하
  •  일본산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대상 15% 관세율 적용

보편/상호

2025.07.15

인도네시아, 무역협상 타결

  •  인도네시아산 제품 대상 상호관세 32%(7월 7일 서한 기준) → 19%
  •  인도네시아는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미국산 제품 무관세 적용

보편/상호

2025.07.12

유럽연합(EU)와 멕시코 대상 30% 신규 상호관세율 부과 발표

 - 8월 1일부터 신규 상호관세율 적용

보편/상호

2025.07.10

캐나다 대상 35% 신규 상호관세율 부과 발표

 - 8월 1일부터 신규 상호관세율 적용

보편/상호 2025.07.09 8개국 대상 신규 상호관세율 서한 발송
  • 8월 1일부터 신규 상호관세율 적용
  • 대상 국가 : 필리핀 20%, 브루나이/몰도바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 30%, 브라질 50%
보편/상호 2025.07.07 상호관세 유예기간 7월말까지 연장
  • 미 동부시간 기준 7월 9일 0시 → 8월 1일 0시로 변경

14개국 대상 신규 상호관세율 서한 발송
  • 8월 1일부터 신규 상호관세율 적용
  • 대상 국가 : 일본 25%, 한국 25%, 남아프리카공화국 30%, 카자흐스탄 25%, 라오스 40%, 말레이시아 25%, 미얀마 40%, 튀니지 2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인도네시아 32%, 방글라데시 35%, 세르비아 35%, 캄보디아 36%, 태국 36%

드 미니미스

2025.07.04

전 세계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적용하던 ‘디미니미스(De Minimis)’ 면세 혜택을 공식적으로 종료

  • $800 이하 소형 화물에 부과되지 않던 관세 면제는 2027년 7월 1일부로 완전히 종료 예정(중국발 → 전세계로 확대)
  • 7월 4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에 담긴 법안에 포함
보편/상호 2025.07.02 베트남, 아시아 국가 중 첫 무역 합의
  • 베트남산 제품 대상 상호관세 46%→20% 인하
    단, 환적(베트남 경유해 미국 수출) 제품 대상 40% 관세 적용
  •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 무관세 적용
보편/상호 2025.06.16 영국, 상호관세 유예 후 첫 무역협정 체결
  • 상호관세 10% 유지
  • 완성차(연간 10만대 규모 대상) 관세 10%
  • 자동차 부품(영국에서 생산되어 영국산 완성차에 사용) 관세 10%
  • 철강 면제 할당량 설정 예정
품목 2025.06.12 철강 품목관세 파생제품 대상에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추가 발표
  • 철강 함량 가치 기준으로 50% 부과
  • 6월 23일부터 발효
보편/상호 2025.06.10 미국 연방항소법원, 항소 심리 기간내 관세 부과 효력 유지 결정
품목 2025.06.03 철강, 알루미늄 및 파생제품 대상 관세율 25% → 50% 인상 발표
  • 6월 4일부터 발효
보편/상호 2025.05.29 미국 연방항소법원, 상호관세 무효화 판결 일시 중단 (~6월 9일까지)
보편/상호 2025.05.28 미국 연방국제통상법원,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 근거한 관세 부과 무효화 판결
보편/상호 2025.05.12 미-중 90일간(5월 14일~8월 11일) 관세 유예 합의
  • 미국의 대중관세율: 상호관세 125% → 10%로 인하, 펜타닐 유입 우려에 따른 관세 20%는 유지
  • 중국의 대미관세율: 상호관세 125% → 10%로 인하
드 미니미스 2025.05.12 중국/홍콩발 800달러 이하 소포 대상 관세율 인하
  • 종가세: 제품가격의 54%로 인하
  • 종량세: 5월 2일부터 발효된 품목당 100달러 유지
품목 2025.05.03 수입산 자동차 부품 25% 관세 발효
보편/상호 2025.04.09 국가별 상호관세 발효 후, 상호관세 90일간(4월 10일~7월 8일) 유예 결정
  • 보편관세 10%만 적용(중국 제외)
  • 중국 대상 상호관세율 84%→125%로 추가 인상 발표, 4월 10일부터 발효
드 미니미스 2025.04.09 중국/홍콩발 800달러 이하 소포 대상 관세율 인상
  • 종가세: 제품가격의 120%, 5월 2일부터 발효
  • 종량세: 품목당 100달러, 5월 2일부터 발효 → 품목당 200달러, 6월 1일부터 발효
보편/상호 2025.04.08 중국 상호관세율 34% → 84%로 인상 발표, 4월 9일부터 발효
드 미니미스 2025.04.08 중국/홍콩발 800달러 이하 소포 대상 관세율 인상
  • 종가세: 제품가격의 90%, 5월 2일부터 발효
  • 종량세: 품목당 75달러, 5월 2일부터 발효 → 품목당 150달러, 6월 1일부터 발효
보편/상호 2025.04.05 전세계 수입품에 10% 보편관세 발효
품목 2025.04.03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발효
보편/상호 2025.04.02 트럼프 대통령, '해방의 날'로 선언하며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 근거로 보편/상호관세 발표
(보편관세) 4월 5일부터 전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10% 관세 발효
(상호관세) 4월 9일부터 국가별 무역장벽 수준에 따라 추가 관세 발효
  • 베트남 46%, 미얀마 45%, 태국 37%, 중국 34%, 대만 32%, 인도네시아 32%, 스위스 32%, 남아공 31%,
    인도 27%, 한국: 26%, 말레이시아 24%, 일본 24%, EU 20%, 이스라엘 17%등
  • 캐나다/멕시코는 별도 25% 추가 관세가 적용되어 보편/상호관세 미부과
  • 품목 관세와 중복 적용되지 않음
드 미니미스 2025.04.02 중국/홍콩발 800달러 이하 소포 대상 관세 부과, 5월 2일부터 발효
  • 종가세 또는 종량세 조건 중 택일하여 부과
  • 종가세: 제품가격의 30% 부과, 5월 2일부터 발효
  • 종량세: 품목당 25달러, 5월 2일부터 발효 → 품목당 50달러, 6월 1일부터 발효
품목 2025.03.12 철강, 알루미늄 및 파생제품(볼트, 너트, 스프링 등) 대상 25% 관세 발효
펜타닐 이슈 2025.03.06 USMCA(북미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원산지 규정 충족한 멕시코/캐나다산 제품 25% 관세 면제
펜타닐 이슈 2025.03.04 멕시코/캐나다 25%, 중국 추가 10% 관세 발효
펜타닐 이슈 2025.02.04 중국 10% 관세 발효
펜타닐 이슈 2025.02.03 멕시코/캐나다 25% 관세 한 달간 유예(~3월 3일까지) 발표
펜타닐 이슈 2025.02.01 불법 이민, 펜타닐 유입에 대한 우려로 멕시코/캐나다에 25%, 중국에 10% 관세 부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