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스퀘어 인사이트 KMI ‘24년 상반기 항공화물 시황 주요 특징

등록일2024-09-13

KMI 국제물류위클리 제724호, 배성훈 그룹장2024.09.04

‘24년 상반기 항공화물 시황 주요 특징
항공화물 시황 변동 폭 확대 - 항공화물 시황은 반도체, 의약품 등 고가의 소규모 물품을 적시에 배송하므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시황 하락 시 운임 침체도 빠르지만, 시황 상승 시 운임이 더 빠르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
- 최근 항공화물 시장은 강한 회복세에 접어들어 대표적 두 노선인 중국~미국 및 유럽의 현재 운임은 2019년 대비 약 50% 이상 높은 수준임 항공화물 수요 회복 - 2020~2021년간 운임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항공 공급량이 급락했는데 이는 수요의 영향이 아닌 팬데믹 기간 여행제한으로 인한 공급 감소로 파악됨
- 항공 수요는 작년까지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으나 올해는 5년 만에 ‘19년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됨
[국제 항공화물운임지수 (TAC Index) 동향] 국제 항공화물운임지수 자료: https://www.tacindex.com/ (검색일: 2024.08.16.)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대비 공급 동향]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대비 공급 동향 자료: IATA, Air Cargo Market Analysis (검색일: 2024.08.16.)
해상운송 정시성 하락 - 컨테이너 해상 정시성과 운임(Shanghai Containerized Freight Index, SCFI)은 아래 그래프와 같이 역의 관계로 나타나는데, 시황 상승기에는 운영 등 여러 이슈로 인해 예정된 일정을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해상 정시성은 하락하는 경향을 가짐
- 홍해 사태(2023년 11월) 이후, 해상운송 정시성이 급격히 하락하자, 화주들은 안정적인 납기, 서비스 등의 이유로 해상에서 항공으로 운송 모드 전환이 이루어짐
[컨테이너 해상운임과 정시성 비교 (아시아~북유럽 항로 기준)] 컨테이너 해상운임과 정시성 비교 자료: Sea Intelligence (검색일: 2024.08.16.)
해상운임 및 항공운임 간 격차 감소 - 중국발 유럽향 기준, 해상과 항공의 대표적 두 운임(SCFI, TAC)을 비교하면, 2021~2024년 평균 20배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항공화물 운임이 해상보다 평균적으로 20배 정도 비싸다고 볼 수 있음
- 홍해 사태 발생 이후, 유럽향 해상운임(SCFI)은 공급 불균형 속에서 꾸준히 상승 기록했으며 해상과 항공운임 격차 최대치(55배)에서 2024년 8월(6.5배) 수준으로 운임 격차가 축소되어 상대적으로 항공운임의 비교 우위가 발생해 기존 해상물동량이 항공으로 대규모 전환됨
[해상운임(SCFI) 대비 항공운임(TAC)] 해상운임(SCFI) 대비 항공운임(TAC) 자료: https://www.clarksons.net/, https://www.tacindex.com/(검색일: 2024.08.16.)
중국발 전자상거래 증가로 항공 물동량 확대 - 중국발 항공 수출 물동량은 2021년 542만 톤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23년 456만 톤으로 감소했으나 이는 2019년 450만 톤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올해는 2023년 수준을 상회할 전망임
- 전체 항공 수출 물동량 추세와 다르게 중국발 전자상거래 수출 물동량은 2023년 들어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올해는 알리, 쉬인, 테무 등의 전자상거래 업체 물량 증가세로 전자상거래 수출 비중도 약 1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발 전체 수출 물동량 대비 전자상거래 물동량] 중국발 전체 수출 물동량 대비 전자상거래 물동량 자료: https://www.accenture.com/sk-sk/insights/travel/air-cargo-capacity (검색일: 2024.08.16.)
주: 전자상거래 물동량 구분 : Consumer Personal & Household Goods를 전자상거래 항목으로 분류함
항공화물 시장의 수급 상황 점검 - 항공화물 시황의 수급 상황을 살펴보면, ‘21년은 수요 우위 상황이었고, ’22년은 공급 우위 상황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코로나19 종료 후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수요의 빠른 증가세와 더불어 여객 수요 회복으로 인한 벨리 카고(Belly Cargo) 공급도 증가하며, 현재는 수요와 공급 증가율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 수요와 공급 증가율의 차이를 분석하면 현재 시장의 수급 상황은 빠듯한 상황으로 당분간 항공운임은 현재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판단됨
[항공화물 수요 및 공급 증감률(YoY) 동향] 항공화물 수요 및 공급 증감률(YoY) 동향 자료: IATA, Air Cargo Market Analysis (검색일: 2024.08.16.)
종합 및 소결 - 올 상반기 항공화물 시장은 지속적인 강세를 기록했으나 이는 주로 홍해 사태로 인해 해상 정시성이 떨어지고 운임이 상승하면서, 해상에서 항공으로의 물량 전환이 나타났기 때문으로 추측됨
- 또한,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동량의 증가세도 지속되고 있어, 수요와 공급 증가율(YoY)을 비교해 봤을 때, 현재의 기본적 수급 상황은 계속 빠듯할 것으로 예상됨